여름철 빈번한 벌쏘임 사고…벌 쏘임에 주의하세요!

입력 2025년08월04일 16시29분 최진규 조회수 62

- 여름철 야외활동 증가로 벌 쏘임 사고 위험 급증…도민 각별한 주의 필요
- 사전 예방 효과 높은‘벌집 사전제거 신고제’ 적극 활용 당부


예초작업중 발견된 벌집을 제거하고 있는 현장

경상남도 소방본부(본부장 이동원)는 본격적인 하계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시기를 맞아 도민들에게 벌 쏘임 사고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4년간(2021~2024경상남도 내 벌 쏘임 사고는 연평균 631건 발생했으며특히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에 쏘이게 되면 통증부종 등 비교적 가벼운 증상은 물론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전신 알레르기 반응등 치명적인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어 평소 안전수칙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벌 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을 자극할 수 있는 향수나 화장품스프레이 등 강한 향의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야외활동 시에는 어두운색 계열의 옷보다 밝은색 옷을 착용하고긴소매 옷으로 팔과 다리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야외에서 벌집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당황하지 말고 자세를 낮춘 채 천천히 다른 장소로 이동해야 하며벌집을 건드리거나 벌을 자극한 상황에서는 머리를 손이나 옷으로 감싸고 최소 20m 이상 신속히 대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주택내 벌집을 제거하고 있는 현장

또한벌은 단맛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야외에서는 탄산음료나 아이스크림 등 단 음식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오성배 대응구조구급과장은야외활동이 잦은 여름철에는 누구에게나 벌 쏘임 사고의 대상이 될 수 있다라며, “도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에서 안전수칙을 꼭 실천해 주시고사고 발생 시 즉시 119에 신고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시길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한편경남소방본부는 매년 여름철을 앞두고 벌 쏘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벌이 본격적으로 집을 짓기 시작하는 6월부터 ‘벌집 사전제거 신고제를 운영하고 있다이 제도 민가 주변이나 공공장소에 조성되는 벌집을 초기에 제거 함으로써 도민 피해는 물론 현장 출동 대원의 2차 피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조치이다.

 

경남소방본부는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사전 예방 중심의 구조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결제하실 금액은 원 입니다.
무통장 입금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