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초대작 2024년7월,

입력 2024년09월06일 12시33분 김가중

한국사진방송 배택수 심사위원장 발표

 ■ 심사위원

▪ 심사위원장

배택수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사진석사사진평론가미국 Stanton Univ 미술학과 (사진초빙교수건국대학교 사진아카데미 교수인천인하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농협대학교 강사역임문체부 문화예술교육사(사진), 한국사진작가협회 (상임이사자문위원사진아카데미 교수사진교육지도자사진촬영지도자전국사진강좌 강사전국사진심사자격자), 한국문학저작권협회 이사한국사진학회 정회원한국미술협회 서양화가(문화예술협력위원회 이사 역임), 한국현대미술협회 운영위원

 

▪ 심사위원

홍찬혁 (목사/신학박사한국외대 중국어학과세계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백석대 아신대 교수 역임프리랜서 활동)

김상용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개인전 3초대 및 단체전 3국제공모전Best Photo Awards 2022 Winner 1st place(Open 부문)외 9회 입상, JTBC 아티스트 ID 방송 중)

범진석 (사협 이사전국심사자격자한사전 초대작가광주시전 추천작가호남미전· 5.18 초대작가),

이종휘 (한사전 ·충남시전 추천작가사협 교육지도자교육전문위원드론분과 운영위원)

찬희 (한국외대 대학원 불어교육학과 수료한국여성사진작가협회회원한국미협·대한미협 이사역임안산아트페어 자문위원국제앙드레말로협회 한국지부회원개인전·부스개인전·초대전다수단체전 다수)

양정국 (Martin Osner Photography School, Graduation of Fine Ar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Professional Photographers of America istock by getty images photographer USA 1x Professional photographer, Fantapia Museum 회원)

서진종 (사협 이사자문위원한사전·부산시전 초대작가대한불교사진가회 회장한사전· 전국공모전 다수 심사위원부산사진문화상 수상개인전 2국내외 초대전·그룹전 200여회사진작업실[심상사진이야기] 운영),

황광현 (가천대학교 문화학부 디지털 사진 미디어 전공한사전 추천작가사협 전국 심사자격자사협 보도분과 부위원장 3회 역임)

 

■ 이달의 초대작품

 

 

 

 세월의 흔적” 작가 이용만

 

 

 반디와 은하수” 작가 변병윤

 

 

 삼척 젤라또 아이스크림” 작가 오상복

 

 

 명당” 작가 김가중

 

 

 기도” 작가 정영남

 

 

 간월암의 여름 풍경” 작가 오상복

 

 

 블루스” 작가 서병일

 

 

 영원한우정” 작가 신옥균

 

 

 “Beautiful eyes” 작가 이용만

 

 

 

 

 오페라 하우스의 추억” 작가 김미현


 작품평

 

지난달에 이어서 프레이밍framing"  심리적프레임이 사진에서 매우 중요한데 이 작업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초대작을 중심으로 작품평을 하려 합니다.

 

프레이밍framing" , ‘프레임 워크framework" 는 세상의 움직임을 한 조각을 떼어서 프레임 안에 넣는 작업입니다.

프레임의 일차적 목표는 사진가와 오브제 사이의 관계를 뷰파인더가 사진가와 대상을 이어주는데 사진의 프레임은 세상 안에서 사진가가 절대적 선택과 구성에 의해서 이루어지며주체의 감정감각시각시선정신을 대변하는 조형기호학입니다.

 

사진가가 절대적 선택이 있다는 말은 사진을 찍을 때 사진에 찍힌 대상을 사진가가 독차지한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사진은 다른 예술과 달리 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셔터를 누르는 순간은 오로지 혼자로그림처럼 누가 그려주지도 못하고문학처럼 누가 써주지도 못하고음악처럼 함께 불러주지도 못합니다,

사진은 오로지 사진가 혼자서 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당연히 대상을 혼자만 소유독점하는 것으로 사진은 대상과 심리적인 관계를 맺는 것입니다.

 

사진의 프레임은 물리적심리적 정보가 모여 있는 것으로.

물리적 프레임은 밖으로 드러나는 외형으로 셔터조리개렌즈노출초점거리구성프레이밍 등을 결정하는 촬영 기술적인 부분과 형상과 배경의 위치크기면적형태가 있으며프레임에 의해서 경계선이 그어지고그 경계선에 의해 이미지 공간이 규정됩니다.

그러니까 화면 안쪽과 화면 바깥쪽으로 나뉘고화면 안팎으로 존재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형상의 움직임과 방향성이 지시되면서사진의 형상과 내용을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각 정보의 총체가 들어 있는 곳입니다.

 

사진의 프레임에서 물리적 프레임도 중요하지만 심리적 프레임

이 더 중요한데 그것은 전달하려는 테마메시지 등 사진가의 철학을 바탕으로 사상·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사진가의 정서감각감정사상정신을 프레임에 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진의 심리적 프레임은 대상의 의미를 발견하고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 다음 자아를 표현하는 예술입니다.

사진은 그림과는 달리 무에서 유를 만들지 못하고 현실에 존재하는 오브제를 대상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사진은 유의 예술타 예술은 무의 예술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현실에 존재하고 있는 피사체에 내포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 후 촬영자의 시각으로 재해석재구성해서 표현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사진을 잘 촬영하는 기술(형식)도 중요하지만 피사체의 심리적 의미(내용)를 잘 찿을 수 있어야만 합니다.

 

초대작 갈매기의 꿈 같이 단순히 하늘을 나는 비행기와 새를 같이 촬영한 것이 아니고 새가 비행기에게 나도 너같이 빠르고높고 멀리 날고 싶다‘ 라는 의미를 발견하고 촬영한 것으로무심히 이 상황을 바라만 보았다면 그 의미를 발견하지 못했을 것으로사진은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자아를 표현하는 예술입니다.

 

심리적 프레임을 사진에 담기 위해서는 투사(projection), 내사(introjection), 합치(coincidence)를 활용해서 자아를 사진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투사(projection)는 작업현장에서 연출한 초대작 초록 청소복3‘ 의 작품의 눈물젖은 빵‘ 이라는 서브타이틀 같이 사진가가 휴식시간에 배고품으로 정신없이 빵을 먹고 있는 작업자의 모습을 보면서 빵과 배고품에 대한 아품과 슬품의 풍크툼이 overlap되는 것을 느꼈다면 그 느낌 그대로를 사진에 감정 이입시켜 투영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내사(introjection)는 촬영 대상인 오브제가 사진가에게 걸어오

는 말을 사

결제하실 금액은 원 입니다.
무통장 입금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