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부터 거사적으로 추진하던 "2016 대한민국 국회 주최 사진전, 한국의 사진가"전이 무산되어 이제는 사진방송이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믿지 않을 정도로 대내외 신뢰가 추락하여 운영진이나 독자 회원들의 상실감이 크다. 사진전 무산 충격도 서서히 사그라지고 있지만 화장실에서 볼 일 보고 뒤처리를 하지 않은 것 같이 찜찜한 상태로 마무리 된 것 같아 아쉬운 마음을 토로해 본다.
첫째, 사진전 무산은, 민간단체 사진전을 국가 기관이 주최한다는 전제 자체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고, 국회(사무처)가 법적으로 불가능한 국회 주관 요청을 허용한(사진방송 주장) 것에 있다. 설령 국회가 사진전을 개최해도 예산 편성이 안돼 사진전 비용을 기업체 후원, 사진방송 부담으로 개최한다면 국회가 뇌물을 받는 것이 되어 불가능하다. 국회가 사진전 주관 방침 전달 후 3개월여 방치하여 사진전 진행과 명칭 사용을 묵인(방조)한 국회 처사는 비난 받아 마땅하지만, 국회와 계약 체결도 하지 않고 사진전 추진을 한 사진방송의 잘못도 크다. 기관장 약속도 공문서, 계약서 등 법적 뒷받침이 되지 않으면 개인 의견에 불과하다. 권리(법) 위에 잠 자는 자(者)는 법이 보호하지 않는다는 법언처럼 모르고 했다고 면책되지 않는다. 국회사무처가 상표법 위반이나 국제신문 정정 보도를 요구할 수는 있으나 더 이상의 논쟁은 실익이 없고 주선하신 분의 선의에 누를 끼치는 일이다.
둘째, 언론사의 최고 가치는 사실(진실) 보도이고 이는 신문의 생명이다. 신문사가 보도한 내용이 사실을 오도하였거나 오류(결과적으로 사진전 무산)를 범했다면 사진방송은 국회와의 논쟁과 별도로 즉각 정정 보도를 하고 독자들에게 사과를 하는 것이 원칙이고 독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이다. 창립 7년차의 사진방송에서 이렇게 대형 오보를 내고도 독자에 대한 사과도 하지 않았고, 사진방송내 분위기도 오보에 대해 전혀 문제 의식이 없는 것 같아 유감이다. 2011년 명사들이 뽑은 작품전이 무산됐을 때도 그냥 넘어갔는데, 업력이 쌓인 현재도 같은 행태가 계속되는 것은 문제다. 올해 1월 국회에서 사진전 불허 통보를 받았을 때 확인 절차를 거쳐 사진전 무산이 최종 확인됐으면 오보에 대한 독자 사과를 즉각 했어야 하는데 어물쩡 넘어갔다. 앞으로 또 오보가 나도 독자를 무시하는 행위를 계속할 것인지, 독자에 대한 사과가 그렇게 어려운지 묻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