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면 삭막하기도 할텐데 오히려 더 포근하게 느껴지는 건 전나무 숲이
대 가족을 이루고 있어서 일것이다.
아름드리 하늘을 향하여 겸손하게 세월을 이겨낸 월정사의 전나무 숲은
빼 놓을 수 없는 여행 코스이다.
월정사 전나무 숲은 일주문부터 금강교까지 약 1km 양쪽에 있다.
평균 수령 80년이 넘는 전나무가 무려 1700여 그루이다.
사찰로 들어가는 세 개의 문 중 첫 번째 문으로 일주문 안쪽으로
숲이 조성돼 있기 때문에 전나무 숲은 월정사의 일부이다.
월정사는 중국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만나고 온 자장율사가 643년 지금의 오대산에 초막을 짓고 수행을 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원래는 소나무가 울창하던 이곳이 전나무 숲이 된 데는 사연이 있었다. 고려 말 무학대사의 스승인 나옹선사가 부처에게 공양을 하고 있는데
소나무에 쌓였던 눈이 그릇으로 떨어졌다. 그 때 어디선가 나타난 산신령이 공양을 망친 소나무를 꾸짖고 대신
전나무 9그루에게 절을 지키게 했다는 것이다.(네이버)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월정사를 지킨 전나무 숲은 이제 신비함에서 벗어나
세속에 찌들은 인간에게 삶을 지탱 할 수 있는 희망과 용기를 주는 숲길이 되었다,
'천년의 숲'이 되어버린 월정사 전나무 숲은 수많은 이야기와 詩를 탄생시킨 곳이다.
지금은 오월의 장미가 곳곳에서 향기를 품어 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나무 숲길의 향기가
그리워지는 건 오래오래 견디어 오며 지켜온 까닭인가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