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05월10일sat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문화예술뉴스 > 알콩달콩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국립수산과학원, 전복 껍데기에 부착생물 줄이는 방법 개발

등록날짜 [ 2023년01월29일 15시28분 ]
 국립수산과학원, 전복 껍데기에 부착생물 줄이는 방법 개발

뉴스 제공국립수산과학원

 

 

 

부산--(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 이하 수과원)이 해상가두리 양식전복 껍데기에 붙어 자라는 부착생물[1]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양식전복의 거의 대부분이 생산되고 있는 전남지역에서 전복 양식의 약 96%[2]가 해상가두리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해상가두리 전복양식에서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전복 껍데기에 다른 생물이 부착하는 것이다. 양식전복 껍데기에 다른 생물이 부착하면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인건비 등 부대비용이 추가적으로 연간 728억원[3] 이상 소요된다.

 

이에 수과원 남해수산연구소는 전복 양식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2021년부터 전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착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먼저 해상가두리에서 양식한 전복의 껍데기에 가장 많이 부착하는 생물은 따개비(62.2%), (31%), 갯지렁이류(2.7%) 순이었다.

 

이번에 수과원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이들 부착생물이 잘 붙는 가리비와 굴 껍데기를 활용해 전복 껍데기에 부착생물이 붙기 전에 먼저 제거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 기술을 적용했을 때 전복 껍데기의 부착생물이 최대 66.1%[4](평균 50.3%) 감소했으며, 이를 제거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은 최대 51.5%[5](평균 31.7%) 단축되는 것으로 평가됐다.

 

앞으로 2년간(2023~2024)의 추가 연구를 통해 전복 껍데기의 부착생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과 전복 양식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수과원 김종현 남해수산연구소장은 전복 껍데기의 부착생물을 절반 정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는데, 이를 우선적으로 보급해 현장 애로를 해소하고 앞으로 속도감 있는 연구 수행을 통해 더 나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 부착생물: 패류, 해조류 등 기질에 붙어서 사는 생물의 총칭(, 따개비, 담치류, 다시마 등)

[2] 전남지역 전복 해상가두리 양식 면적 비율: 96.1%(4,485/4,665 ha, 2021년 기준, 통계청)

[3] 전남지역 전복 패각 부착생물 제거작업 비용: 2000만원(어가/) x 3639(어가 수) = 728억원(20215월 기준)

[4] 부착생물 저감률: 가리비 껍데기(66.1%) > 가리비와 굴 껍데기 혼합(50.8%) > 굴 껍데기(33.9%)

[5] 부착생물 제거작업시간: 굴 껍데기(53) > 가리비와 굴 껍데기 혼합(41) > 가리비 껍데기(29)

 

웹사이트: https://www.nifs.go.kr/main.do

올려 0 내려 0
김가중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2023년 재팬 프라이즈 수상자 발표 (2023-02-01 14:42:23)
인천 중구, 문화예술진흥 TF팀 발족 (2023-01-26 12:5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