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동안 61만명 관람
- ‘서울아트위크’ 등과 연계해 11일 동안 DDP 내외부 세계적 아티스트들의 캔버스로 변신
- 총 관람객 60만8천명 이상, 일 평균 5만5천여 명 방문, 전년 가을행사 대비 13% 증가
- 추상미술의 세계적 거장 김환기 작품 미디어아트로 연출, 세대와 국적을 넘는 감동 선사
- 서울라이트 DDP 겨울, 카운트 다운 등 12월에 개최할 윈터페스타 기대감 커져
- DDP의 낮과 밤을 다채롭게 채운 DDP글로벌 전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체험
- 9월1주차 서울 개최 축제 트렌드 순위에서 서울라이트 DDP가 1위
□ 서울디자인재단(대표이사 이경돈)은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지난 8월 29일부터 9월 8일까지 총11일 동안 개최한 <DDP 디자인&아트, 서울라이트 DDP>는 총 60만명 이상 방문했다.
○ DDP가 세계적 아티스트들의 캔버스로 변신해, 1일 관람객 5만 5천명 이상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시민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 <서울아트위크>와 연계한 이번 <DDP 디자인&아트>는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디자인재단에서 주관하는 서울시의 대표적인 디자인 행사로 초대형 미디어아트 <서울라이트 DDP 2024 가을>이 메인 프로그램이다.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전시가 곳곳에서 펼쳐지며 DDP는 글로벌 디자인&아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 최근 AI기반 빅데이터 프로그램인 랭키파이가 발표한 9월 1주차 <서울 개최 축제 트렌드> 순위에서 <서울라이트 DDP>가 당당히 1위를 기록했다.
□ 이번 <서울라이트 DDP 2024 가을>은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서울대 교수 박제성과 국내 유명 대중음악 프로듀서 윤상이 각각 영상제작과 음악 연출로 참여해 작품의 깊이를 한층 더했다. 그 결과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매번 뜨거운 환호와 박수갈채로 화답했고, 60만 8천명 이상이 DDP를 방문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는 전년 가을행사 대비 13% 상승한 수치이다. 만족도 조사에서는 참여자의 약 96%가 행사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냈다.
○ 국내 최정상 예술가들의 손끝에서 만들어진 초대형 미디어아트 <시(時)의 시(詩)>와 <인비테이션(INVITATION)>은 길이 222m에 이르는 거대한 DDP 전면 외벽을 화려한 빛의 향연으로 물들였으며, 세대와 국적을 넘는 감동을 선사했다.
○ 이번 메인 작품인 <시(時)의 시(詩)>는 <Duet(듀엣)>부터 <성심>까지 김환기의 대표작 9점을 시대별 역순으로 재구성한 미디어 아트 작품으로. 박제성은 김환기 특유의 전면점화와 그의 사색적 물음을 고스란히 구현해내면서도, 자연과 우주의 영원함과 역동성을 아름다운 빛으로 재해석해냈다.
○ 음악감독 윤상은 작품의 움직임과 질감·색의 변화에 맞춰 특유의 섬세한 운율적 표현을 미디어아트에 입혀 완성도가 어느 해보다 높았다.
○ 특히 작품을 감상한 시민들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공간에서 김환기의 작품을 볼 수 있다니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을 것”, “젊은 시절 위로가 되어준 김환기 작품을 DDP 외벽과 조화롭게 어우러진 미디어아트로 만나는 것은 또 다른 감동으로 다가와 몰입감 있게 감상할 수 있었다” 등의 감상평을 남겼다.
□ 또한 세계적인 아티스트 펠리체 바리니(프랑스_스위스), 아뜰리에 시수(호주), 스튜디오 버티고(영국) 등이 참여한 <DDP 글로벌 전시>는 DDP의 낮과 밤을 다채롭게 채웠다.
○ 특히 개관 이래 처음으로 <디자인둘레길> 공간 자체에 직접 페인트를 칠해 완성한 <착시 아트>의 대가 펠리체 바리니의 <색 모양 움직임> 전시는 입장하자마자 공간에 압도당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 작가가 의도한 지점을 찾는 즐거움과 함께 전시장에 들어서면 핸드폰을 꺼내 들고 사진을 찍는 관람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참고로 <색 모양 움직임> 전시는 DDP뮤지엄 디자인둘레길에서 2025년 3월 30일까지 관람할 수 있다.
○ 또한 작년 동기간 <잔디언덕>에서는 보레알리스 전시로 도심 속 오로라를 관람할 수 있었다면, 올해는 아뜰리에 시수의 거대한 하트 형태의 미러볼 <아워비팅하트> 작품이 회전하며 건물과 거리를 반짝이는 흰 빛으로 뒤덮는 이색적인 풍경을 자아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 <팔거리>에서는 스튜디오 버티고의 시시각각 색이 변하는 에어바운스 형태의 체험형 작품, <아퍼쳐>에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기념 촬영을 하며 전시를 즐겼다.
○ DDP 글로벌 전시는 이처럼 11일간 남녀노소 많은 관람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공간을 활용한 아이디어가 좋았습니다’, ‘신기한 경험!’, ‘미로 속으로 들어가는 기분이라 재미있다.’ 등 전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으며 SNS상에도 ‘요즘 DDP에 좋은 전시가 너무 많네요.’와 같은 긍정적인 반응이 쏟아졌다.
□ 이번 <DDP 디자인&아트>는 개막식, 아트 토크&투어, 포럼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진행되어 시민들의 만족감이 더 컸다.
○ 먼저 올해 처음 선보인 아트 토크&투어는 토크 4회, 투어 5회로 진행되어 총 218명이 참여했다.
○ 개막일 첫 프로그램으로 ‘서울라이트 DDP 가을’ 연출진이 참여해 ‘왜 김환기인가?’라는 주제로 <아트 토크>가 진행되었다. 이후로는 ‘미디어아트로 폭발하는 환기의 우주’, ‘김환기의 시작과 끝, 김향안에 관하여’ 등 아트 토크가 이어졌다.
○ <아트 토크>가 끝난 후에는 매번 투어가 함께 진행되었다. 이에 시민들은 ‘유익하고 즐거웠다’, ‘완벽! 더 자주 했으면 좋겠다’ 등 긍정적인 시민의견과 만족도 조사 95% 만족과 97% 재참여 의사라는 시민 호응을 이끌었다.
○ <포럼>으로는 9월 2일에는 아트페어 ‘프리즈서울’(9.4.~9.7.)을 방문한 미술계 명사들이 참여한 <DDP X SUUM ART FORUM 2024>가 열렸다. 세계적인 아티스트 김수자, 서펜타인 갤러리 예술감독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 등 예술계 거장과 시민 약 200여명이 참여했다.